티스토리 뷰

정의

 

크립토재킹의 공격법 중 하나로 피해자 서버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공격

 

공격 단계

 

1. 온라인에 노출된 취약한 SSH 서버를 이용하여 피해자의 네트워크에 접근 (SSH 딕셔너리 공격)
2. 악성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피해자 서버를 P2P 프록시 네트워크(Peer2Proxy, Honeygain 등)에 가입시키고 네트워크 노드로 설정
3. 공격자는 피해자 서버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암호화페 채굴, 명령어 실행과 같은 악성 행위를 수행

 

탐지가 어려운 이유

 

- 해킹한 서버의 사용하지 않는 대역폭만 사용하고 전반적인 안정성이나 사용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탐지가 어려움
- 악성 트래픽이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여러 피어 노드를 통해 라우팅 되고 있으므로 추적이 힘듬

 

방어 방법

 

- 해당 공격에 특화된 방어 방법은 현 시점(2024년 상반기)에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SSH 서비스를 차단하고 취약점 탐지 및 패치, 네트워크 모니터링의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막는것 만으로도 해당 공격 시도를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참고 URL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9843

https://www.akamai.com/ko/blog/security-research/mexals-cryptojacking-malware-resurgence

 

'Information Security > Penetration Te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선 해킹 탐지 시스템  (0) 2024.08.01
서버 측 요청 변조  (0) 2024.06.04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무결성 오류  (0) 2024.06.04
식별 및 인증 실패  (0) 2024.06.03
보안 설정 오류  (4) 2024.06.02